재료과 대학원생 일기 5

논문에 기죽을 필요 없는 이유

사람들은 논문이라는 두 글자에 과도한 공신력을 부여한다. “이게 어느 논문에서 나온 결과야”라는 말이 논쟁에서 이기는 하이패스처럼 쓰이는 걸 볼 때도 잦다. 이는 비단 학자들이라고 다르지 않다. 그 유명한 제러미 리프킨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스탠퍼드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모든 나라의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연구했습니다. 한국은 내일 아침 한국 전역에서 사용할 에너지의 85%를 햇빛으로 충당할 수 있습니다.” 무슨 연구인가 찾아봤다. Joule에서 나온 라는 논문이다. Supplement Information에서 table 8을 보면 리프킨의 주장에 대한 자료가 나와 있다. 주거단지에 태양광 집전기(PV)를 설치할 경우 5.62%, 정부 시설/상업 단지에서 3.47%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카이스트 대학원생의 학점 관리 꿀팁 (1) (feat. 매 학기 4.0 넘기는 비결)

대학원에 오고나니 학점에 대한 관심은 저 멀리 바다에 던져 버린지 오래다. 대학원에서는 딱히 학점을 챙겨야 할 동기가 없기도 할 뿐더러 (만약 전문연을 간다면 얘기가 달라지긴 한다.하지만 나는 군필이지) 그보다 더 중요한 게 연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부 시절의 나는 누구보다 학점에 목매던 학생이었다. 외부적 동기 (장학금을 타야한다는 집념)도 엄청 강했고 신소재공학과가 대체 무엇을 하는 곳인지 이해하고 싶은 욕심도 있었다. 그렇게 전공 따위는 관심없었던 1학년을 제외하고 모든 학기 4.0을 넘겼다. (막학기는 따로 저장을 해놓지 않았는데 교양만 들어서 4.5입니데이...) 그러면 여기서 야유가 터져나올 것이다. "너는 원래 공부 잘해서 그런 거 아니냐!" 그랬다면 애초에 이 글을 쓰지 않았겠지. 당장..

1일 1논문 #3 - Grain boundary Li-ion conductivity in(Li0.33La0.56)TiO3 polycrystal

https://aip.scitation.org/doi/10.1063/1.5141396 Grain boundary Li-ion conductivity in (Li0.33La0.56)TiO3 polycrystal Lithium lanthanum titanate (LLTO) is one of the promising solid-state Li-ion electrolytes for an all-solid-state Li-ion battery system. Although LLTO shows a significantly high Li-ion conductivity ... aip.scitation.org 오늘은 유난히 재밌는 논문을 하나 읽었다. 배터리 도메인에서 핫한 주제 중 하나인 고체 전해질에 관한 논문이다...

1일 1논문 #2 - Microscopic Structural Analysis of Advanced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결과, 결론 및 데이터 분석 1) 실험 과정 위 논문은 충방전에 따라 Si anode의 미세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에 대한 논문이다. Si로는 단결정 Si powder를 사용했으며 anode material 비율은 SI:AB(아세틸렌 블랙):PVDF=80:10:10이다. 여기에 NMP 물질을 첨가해 제작했다. 집전체로는 많이 쓰는 Cu foil을 사용했다. 2) 실험 결과 먼저 충전률(SOC)에 따른 SI anode 이미지를 살펴보자. SOC가 높을수록 anode가 붕괴되는 걸 관찰할 수 있다. 게다가 사이사이에 void가 형성되는 걸 관찰할 수 있다. 특히 Cu foil과 Si 사이에 생긴 void는 Si의 탈락을 유도해 수명 저하에 치명적인 역할을 한다. (D)를 보면 충전하면서 Si c..

한달 스터디 #1 - In-situ AFM을 이용한 이차 전지 분석 리뷰

원문 링크: Recent progress in the application of in situ atomic force microscopy for rechargeable batteries Redirecting linkinghub.elsevier.com 앞으로 차차 소개하겠지만 우리 연구실은 분석이 메인이다. 분석 랩에서는 주력으로 미는 장비가 하나씩 있다. 가장 쉽게 떠오르는 TEM 역시 대표적인 장비 중 하나다. 그렇다면 우리는? 조금 신기한 걸 한다. AFM (Atomic Force Microscopy): 원자력간 현미경 쉽게 말하면 매우 작은 침으로 재표의 표면을 훑어서 물성을 측정하는 장비라 생각하면 된다. 이 장비를 활용해 바이오부터 메모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는데 적용한다. 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