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사관학교 개발일지 89

정글사관학교 50일차 TIL: 웹서버 개념 정리

웹서버 1. Web Basics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텍스트 베이스인 HTTP로 통신함. HTTP: 매우 단순. 클라이언트는 서버와 인터넷 연결을 open하고 콘텐츠를 요청한다. 서버는 요청받은 콘텐츠에 대해 응답하고 연결을 종료한다. 브라우저는 콘텐츠를 읽고 화면에 띄운다. FTP와 HTTP와의 차이? 가장 큰 차이는 웹 콘텐츠가 HTML 언어로 쓰여진다는 점. HTML 프로그램은 태그를 갖고 있는데, 이 태그는 브라우저에게 어떻게 다양한 텍스트와 그래픽 요소들을 페이지에 띄울 것인지 알려준다. 반면 FTP는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2. Web content 클라이언트와 서버에게 content란 MIME type을 지닌 바이트의 연속. MIME는 파일의 유형을 나타냄.(html, gif, png, j..

정글사관학교 49일차 TIL: 파일 디스크립터, 소켓 프로그래밍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 파일 디스크립터란 운영체제가 특정 파일에 할당해준 정수값을 말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 운영체제가 파일에 접근하기 쉽게 번호로 추상화시켰다고 보면 된다. 예컨대 3학년 8반 5번 김철수라는 아이를 일일이 김철수라 부르지 않고 "3-8반 5번"으로 부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표준 입출력 역시 이미 파일 디스크립터 값이 할당되어 있는데, 값은 아래와 같다. stdin(표준입력): 0 stdout(표준출력): 1 stderr(표준에러): 2 위처럼 0-2까지는 이미 파일 디스크립터 값이 할당되어 있으니,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건 3 이상부터다. 하지만 이 번호는 OS에서 알아서 매겨주기 때문에 신경 쓸 필요는 없다. 파일 디스크립터 값 할당..

정글사관학교 48일차 TIL: 웹브라우저 요청 흐름, HTTP

웹브라우저 요청 흐름(중요!) 면접 단골 질문이니 잘 정리해두자. 자, 구글에 접속해보자. 이제 면접관이 질문을 한다. 지금부터 구글에 "hello"를 검색할 거예요. 검색창이 뜨기까지, 컴퓨터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검색창에 hello를 적고 enter를 누르는 순간부터 시작한다. 1. HTTP 요청 메시지 생성 구글 창에서 입력을 받으면 웹브라우저는 URI를 위와 같이 변경하며, 이 URI를 parsing해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DNS를 조회해 해당 호스트 주소의 IP를 가져온다. 저 메시지 안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들어있다. 검색한 내용을 조회하는 요청이니 GET 요청에 해당되며, 검색 내용(q=hello)과 언어(hl=ko), HTTP 버전, 그리고 호스..

정글사관학교 47일차 TIL: PORT, URI, 웹브라우저 요청 흐름(중요)

PORT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여러 서버와 연결해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내 컴퓨터에서 게임도 하고, 화상통화도 하며, 그 와중에 웹서핑까지 하면 어떻게 될까? 아래 이미지처럼 두 개의 서버가 필요하다고 할때, IP만으로는 한 서버에서 게임/화상통화 요청시 응답오는 패킷을 구별할 수 없다. (둘다 200.200.200.2) 우리가 이전 공부 자료에서 봤던 것처럼, TCP/IP 패킷에서는 PORT라고 하는 글자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이다. 아래처럼 TCP의 PORT 정보를 활용하면 우리는 한 서버 내에서 오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즉, PORT는 같은 IP 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하게 해주는 식별자라고 보면 되겠다. 이름부터가 "항구..

정글사관학교 45일차 TIL: 인터넷 네트워크 개념 정리(TCP/IP, UDP)

malloc 주차가 끝나고, 이제 OS 전 마지막 준비 단계인 주차에 들어섰다. 간만에 밀린 운동도 해서 기분은 좋으나 매우 피곤한 관계로, 빠르게 정리하고 집에 갈 예정.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어떻게 통신할까? 중간에 인터넷이라는 놈이 둘 사이를 연결해준다. 그러면 이 인터넷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걸까? 인터넷은 수많은 서버 노드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IP(인터넷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무작정 소통하는 게 아니다. 둘 사이에는 일종의 전송 규칙을 설정해 통신하는데, 이때 정하는 규칙을 IP(인터넷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IP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이다. IP address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 IP는 일종의 통신 규약이라고 했다. I..

정글사관학교 44일차 TIL: Explicit malloc 정리 및 구현 review

어제 떡하니 코드만 달랑 올려놓고 말아서 많은 분들이 실망했을 것으로 아는 바, 오늘은 디테일하게 Explicit 방식에 대해 정리하고 코드까지 리뷰하는 것으로 TIL 정리를 해보겠다. 정리를 하기 전에, 동적 메모리 할당 이전에 나오는 개념인 시스템 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간다. 시스템 콜 시스템 콜: OS(특히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말한다. 커널(kernel):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는 운영체제 핵심 중 일부를 뜻한다. 응용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올라가 있어야 한다. 운영체제 역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메모리에 올라가야 하는데 OS는 무겁기 때문에 필요한 핵심만 메모리에 올라간다. 이때,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OS의 일부를..

정글사관학교 43일차 TIL: Explicit malloc 구현

디테일한 설명은 내일...(올릴 수 있기를..) /* * mm-naive.c - The fastest, least memory-efficient malloc package. * * In this naive approach, a block is allocated by simply incrementing * the brk pointer. A block is pure payload. There are no headers or * footers. Blocks are never coalesced or reused. Realloc is * implemented directly using mm_malloc and mm_free. * * NOTE TO STUDENTS: Replace this header comment..

정글사관학교 42일차 TIL: Implicit free list(묵시적 가용 리스트)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 정글사관학교 40일차 TIL: 동적 메모리 할당(malloc), 힙 단편화(fragmentation) malloc: Dynamic memory allocation(동적 메모리 할당) Dynamic Memory Allocator 우리는 왜 동적 메모리 할당을 이용할까? C언어에서는 배열을 만들 때, 반드시 그 사이즈를 미리 선언해줘야 한다. 예컨대 2학년.. woonys.tistory.com 이번에는 가장 기본으로 구현하는 Implicit free list(묵시적 가용 리스트)부터 정리해본다. 번역한 단어가 영 입에 감기지 않아 여기서는 implicit이라고 부르겠다. Implicit free list(묵시적 가용 리스트) allocator는 블록 간 경계를 구분하고 할당된 블..

정글사관학교 41일차 TIL: 두 수의 덧셈(Leetcode #2: add-two-numbers)

오늘은 밖에서 오래 있느라 제대로 정리를 못했..알고리즘 문제 푼 걸 정리하고 빠르게 마무리. 문제 링크는 여기. 연결 리스트 개념은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파이썬 클래스로 구현하는 방식이 손에 잘 익지 않더라. 클래스에서 어떻게 구현했는지 빠르게 보자. 주어진 연결리스트 클래스를 구현하는 ListNode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원소가 두 가지인데, val과 next이다. class ListNode: def __init__(self, val=0, next=None): self.val = val self.next = next 연결 리스트에서 해당 노드의 값을 val, 다음 연결 리스트를 next에 저장한다. 이때, self.next에 들어가는 것은 다음 노드의 값이 아니라 현재 연결 리스트의 노드 헤드를 제외한..

정글사관학교 40일차 TIL: 동적 메모리 할당(malloc), 힙 단편화(fragmentation)

malloc: Dynamic memory allocation(동적 메모리 할당) Dynamic Memory Allocator 우리는 왜 동적 메모리 할당을 이용할까? C언어에서는 배열을 만들 때, 반드시 그 사이즈를 미리 선언해줘야 한다. 예컨대 2학년 3반 학생 수가 32명인데 이를 배열로 담는다고 하자. 그러면 정확히 size = 32라고 선언해줘야 한다. 그런데 2학년 모든 반에 대해 각각 배열을 만들어준다고 하면, 우리는 각 반 학생 수에 맞게 일일이 배열을 선언해줘야 한다. 이는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일일이 타자를 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라. 이런 낭비를 막기 위해, 학년 별 학생 수를 담고 있는 배열에서 숫자를 받아와 그 학생 수만큼 배열을 자체적으로 그때그때 생성할 수 있다면 프로그래머가 ..